전체 글41 인프런 아키텍처 2024 ~ 2025(인프콘2024) 인프콘 2024- 인프런 아키텍처 2024 ~ 2025 한 줄 요약- 인프런 아키텍처 최적화와 글로벌 서비스 준비 발표 영상 상세 내용1. 인프런 아키텍처의 현재 및 과거 리뷰인프런의 아키텍처는 외부에서 볼 때 큰 변화가 없어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여러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거 아키텍처는 MSA 전환 없이도 분산 복제된 환경으로 가고자 했고, 각 조직은 레거시 시스템을 복제하여 신규 시스템과 합쳐 점진적 개선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조직에 따라 달랐습니다. 어떤 조직은 기술 스택 전환이 이루어졌지만, 그렇지 않은 조직도 존재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진출을 준비하면서 작은 조직이 국제화를 준비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인프런 서비스의 국제화를 위해 학습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개선되었고, 모든 .. 2025. 2. 1. 클린 스프링, 스프링 개발자를 위한 클린코드 전략(인프콘2024) 인프콘 2024- 클린 스프링: 스프링 개발자를 위한 클린코드 전략 한 줄 요약- 클린 코드와 개발 생산성의 조화 발표 영상 상세 내용1. 클린 코드의 중요성과 오해발표자는 클린 코드의 중요성과 이를 둘러싼 오해에 대해 설명합니다. 클린 코드는 깨끗하고 이해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장기적으로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최근 일부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클린 코드를 작성하면 구현 속도가 떨어진다는 오해가 퍼지고 있습니다. 이는 클린 코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클린 코드의 목표는 단순히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데도 있습니다. 클린 코드의 원칙을 따르지 않고 코드 품질을 경시하게 되면,.. 2025. 1. 28. Spring AI, LLM(스프링캠프 2024) 스프링캠프 2024- Spring AI : LLM에도 봄이 찾아오다 (황민호) 한 줄 요약- 카카오의 AI 기술 발전과 스프링 AI의 활용 발표 영상 상세 내용1. 카카오의 AI 기술과 생성형 AI의 발전이 발표에서는 카카오에서 AI 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카카오의 황민호는 제주도의 아름다운 벚꽃 풍경을 배경으로 발표를 준비하며, AI 기술과 관련된 여러 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은 딥러닝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생성형 AI는 기존의 객체 식별 기능을 넘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등 다양한 입력값에 맞춰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용되며, 특히 이미지 생성 및 편집에.. 2025. 1. 26. 6. 프로젝트 리팩토링(Ajax) 1. Type이 바뀐 할 일 목록을 새로고침 없이 Ajax 방식으로 구현 - 프로젝트를 진행할 땐 Ajax가 뭔지 감도 안오고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도 모르겠어서 XMLHttpRequest객체만 생성했다. 그리고 window.location.reload() 함수를 통해 화면을 새로고침해서 DB로부터 모든 할 일을 가져와서 전체적으로 화면을 재구성했다. - 또한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보안상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와 POST방식으로 연결하도록 수정하였다. - 가져올 자료와 구성할 컴포넌트가 몇 개 없다면 새로고침을 하는 방식이 ajax 방식과 속도 차이는 별로 나지 않을것이다. - 하지만 화면에 컴포넌트와 DB 자료, 이미지 파일 등이 많다면 화면을 새로고침할 때 많은 시간이 걸릴것이다.. 2020. 9. 1. 5. 프로젝트 마무리 1. 최종 화면 2. 느낀점 - JSP, Servlet, HTML, CSS, Javascript, MySQL 등 하나씩 배울 땐 어느정도 배웠다고 생각했다. - 하지만 이런 여러 언어와 기술들을 연계해서 사용하려니깐 내가 뭘 배웠었지? 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 그래도 연필로 화면 구상도 해보고, 작은 기능 하나씩 만들다 보니깐 많은 공부가 되었다. - 실제로 구글링을 통해서 정말 많이 배웠다. - 이 블로그를 보고 따라해 보았다면 이젠 직접 아이디어를 생각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2020. 8. 13. 4. 할 일 Type 변경 및 삭제 1. TodoTypeServlet - main.jsp에서 ->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id가 GET 방식으로 TodoTypeServlet에 전송된다. - TodoTypeServlet에서는 Table에서 버튼의 id와 일치하는 튜플의 type을 TODO->DOING, DOING->DONE으로 변경한다. - main.jsp의 next 함수에서 id를 GET으로 보내고 함수가 끝나면 새로고침을 한다. - main.jsp의 next 함수 function next(bid){ var oReq = new XMLHttpRequest(); oReq.addEventListener("load", function() { window.location.reload(); }); oReq.open("GET", "http://local.. 2020. 8. 13. 이전 1 2 3 4 ··· 7 다음